▶ 2022학년도 영재학교 입시, 지역인재 '40%' 선발
2021. 05. 04 EBS뉴스 금창호 기자
전국에 8개 있는 영재학교, 기초과학 인재를 키운다는 설립취지에 맞지 않게 과도한 선행학습을 조장하고, 의대 진학의 통로로 악용되고 있습니다. 2022학년도 입시부턴 지역인재 선발 비중이 40%까지 늘고, 졸업생들의 의약학 계열 진학에 제동장치를 마련하는 등 보완책이 도입됩니다.
광주지역 영재학교, 광주과학고는 지난해 모집인원의 절반을 지역인재 전형으로 뽑았습니다. 그 결과 입학생 가운데 서울과 경기 출신 학생은 36% 수준입니다. 영재학교 신입생의 수도권 쏠림 현상을 막기 위해, 이처럼 지역 학생을 먼저 선발하는 제도가 다른 학교에도 확산됩니다. 올해부터 한국과학영재학교를 제외한 7개 학교가 '지역인재 우선선발 전형'을 도입했습니다 중복지원도 금지돼, 학생들은 희망하는 학교 한 곳에만 원서를 넣을 수 있습니다. 영재학교 졸업생이 의학이나 약학계열에 지원하면, 학생부를 대학에 제공하지 않는 방식으로 수시 지원을 못 하게하는 겁니다. 다른 전형을 통해 의대나 약대에 합격하더라도 재학 기간 지원받은 교육비와 장학금도 반납해야 합니다.
최수일 수학교육혁신센터장 / 사교육걱정없는세상 : "상위 수준 높게 나온 아이들을 또, 변별하려는 걸 목적으로 하면 다시 (지필고사에서) 중학교육과정을 어길 수밖에 없거든요. 사교육이 강한 지역의 아이들이 선발시험에 유리할 수밖에 없단 말이죠." 영재학교 수업을 따라가려면 사교육을 통한 선행학습이 불가피해 교육과정 자체의 개선이 필요합니다.
https://news.ebs.co.kr/ebsnews/allView/60037095/N#none
▶ ‘교육 격차’ 분석 사회통합지표 개발…부모 영향 확인에 수십년 걸릴 수도
:2021-05-05 한겨레 이유진 김지은 기자
‘교육공정성지표’(가칭)가 ‘사회통합지표’로 이름을 바꿔 개발된다. 긍정적인 부분도 있지만 애초 목표했던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교육 격차와 계층 이동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등을 확인하는 데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사회통합지표는 교육뿐 아니라 소득·자산, 고용, 주거, 건강·위험 다섯가지 삶의 주요 영역별로 나타나는 사회적 배경에 따른 격차·불평등 현황, 계층 이동 추이 등을 아우른다. 교육 영역의 지표는 △모든 학생이 받는 최소한의 교육수준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교육 격차 정도 △취약 집단에 대한 정책적 지원 정도 등 세가지 관점을 바탕으로 만들어진다.
문제는 ‘교육공정성지표’ 개발의 계기가 된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자녀의 계층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는 핵심 지표의 실제 활용 시기를 현재로선 장담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교육계에서는 해마다 교육 양극화가 심화하는 현실에 견줘 계획안이 느슨하게 만들어졌다는 지적도 나온다.
앞서 ‘교육공정성 지표’ 개발을 강력히 요구해왔던 교육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의 구본창 정책국장은 “대학 서열화가 심각한 상항에서 대학 유형별로 진학률을 보는 건 큰 의미가 없다. 대학별로 따져봐야 한다”며 “여러 정보의 결합 방식이나 지표가 실제로 정책에 활용되는 시기 등을 너무 느슨하게 잡은 게 아닌가 싶다”고 지적했다.
https://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993851.html
▶ 2022학년도 영재학교 입시, 지역인재 '40%' 선발
2021. 05. 04 EBS뉴스 금창호 기자
전국에 8개 있는 영재학교, 기초과학 인재를 키운다는 설립취지에 맞지 않게 과도한 선행학습을 조장하고, 의대 진학의 통로로 악용되고 있습니다. 2022학년도 입시부턴 지역인재 선발 비중이 40%까지 늘고, 졸업생들의 의약학 계열 진학에 제동장치를 마련하는 등 보완책이 도입됩니다.
광주지역 영재학교, 광주과학고는 지난해 모집인원의 절반을 지역인재 전형으로 뽑았습니다. 그 결과 입학생 가운데 서울과 경기 출신 학생은 36% 수준입니다. 영재학교 신입생의 수도권 쏠림 현상을 막기 위해, 이처럼 지역 학생을 먼저 선발하는 제도가 다른 학교에도 확산됩니다. 올해부터 한국과학영재학교를 제외한 7개 학교가 '지역인재 우선선발 전형'을 도입했습니다 중복지원도 금지돼, 학생들은 희망하는 학교 한 곳에만 원서를 넣을 수 있습니다. 영재학교 졸업생이 의학이나 약학계열에 지원하면, 학생부를 대학에 제공하지 않는 방식으로 수시 지원을 못 하게하는 겁니다. 다른 전형을 통해 의대나 약대에 합격하더라도 재학 기간 지원받은 교육비와 장학금도 반납해야 합니다.
최수일 수학교육혁신센터장 / 사교육걱정없는세상 : "상위 수준 높게 나온 아이들을 또, 변별하려는 걸 목적으로 하면 다시 (지필고사에서) 중학교육과정을 어길 수밖에 없거든요. 사교육이 강한 지역의 아이들이 선발시험에 유리할 수밖에 없단 말이죠." 영재학교 수업을 따라가려면 사교육을 통한 선행학습이 불가피해 교육과정 자체의 개선이 필요합니다.
https://news.ebs.co.kr/ebsnews/allView/60037095/N#none
▶ ‘교육 격차’ 분석 사회통합지표 개발…부모 영향 확인에 수십년 걸릴 수도
:2021-05-05 한겨레 이유진 김지은 기자
‘교육공정성지표’(가칭)가 ‘사회통합지표’로 이름을 바꿔 개발된다. 긍정적인 부분도 있지만 애초 목표했던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교육 격차와 계층 이동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등을 확인하는 데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사회통합지표는 교육뿐 아니라 소득·자산, 고용, 주거, 건강·위험 다섯가지 삶의 주요 영역별로 나타나는 사회적 배경에 따른 격차·불평등 현황, 계층 이동 추이 등을 아우른다. 교육 영역의 지표는 △모든 학생이 받는 최소한의 교육수준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교육 격차 정도 △취약 집단에 대한 정책적 지원 정도 등 세가지 관점을 바탕으로 만들어진다.
문제는 ‘교육공정성지표’ 개발의 계기가 된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자녀의 계층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는 핵심 지표의 실제 활용 시기를 현재로선 장담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교육계에서는 해마다 교육 양극화가 심화하는 현실에 견줘 계획안이 느슨하게 만들어졌다는 지적도 나온다.
앞서 ‘교육공정성 지표’ 개발을 강력히 요구해왔던 교육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의 구본창 정책국장은 “대학 서열화가 심각한 상항에서 대학 유형별로 진학률을 보는 건 큰 의미가 없다. 대학별로 따져봐야 한다”며 “여러 정보의 결합 방식이나 지표가 실제로 정책에 활용되는 시기 등을 너무 느슨하게 잡은 게 아닌가 싶다”고 지적했다.
https://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993851.html